1. 투사 그림검사의 역사
- 구디너프(Goodenough, 1926), 해리스(Harris, 1963) : 아동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는 그림의 발달 표준 연구, 그림의 성숙을 지적 발달 수준과 연관지음
- Buck(1948), Buck & Hammer(1969) : 발달적 측면과 투사적 측면에서 집-나무-사람 그림 소개, 평가함
- Jolles(1964)의 목록표는 집, 나무, 사람의 특징을 자세히 묘사함
- Hammer(1971) : 투사 그림의 임상적 적용을 확장시킴
- Machover(1949) : 아동들의 투사 그림에 대한 상세한 임상적 해석 제공
- Koppitz(1968) : 발달적 투사 점수 환산 체계와 사람 그림의 분석 널리 사용
- Hulse(1951) : 가족그림 연구, 가족그림검사(Draw-A-Family)
- Burns & Kaufman : 피험자의 가족이 '무엇이가를 하는' 것을 그리도록 요청, 동적 가족그림(Kinetic Family Drawing: K-F-D) 개발. 가족그림에 행동을 부여함으로써 양적, 질적으로 유용한 정보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었음
- Knoff & Prout(1985) : 가족과 학교를 위한 동적 그림체계(Kinetic Drawing System for Family and School)
- Prout & Phillips(1974) : 학교 내 아동들의 동적 그림 연구, 아동이 그들과 연관 있는 학교 내의 사람(자신, 교사, 친구)들이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하는 동적 학교 그림검사(Kinetic School Drawing: K-S-D)
- Sarbaugh(1982) : 동적 학교 그림검사를 학업 성취도에 연결시킨 질적 분석
- Prout & Celmer(1984) : 동적 학교 그림검사에 대한 양적 분석
2. 투사적 그림검사의 종류
1) 사람 그림검사 (DAP : Draw-A-Person test)
- Machover(1949) 등이 개발, 사후질문과정(PDI: Post Drawing Inquiry) 실시하여 자기상, 신체상, 이성적 자기, 성 정체감 등 성격 구조에 대한 다양한 정보 얻을 수 있음
2)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 : House-Tree-Person test) :
- Buck(1948, 1964) 개발, Buck & Hamme(1969) 발전시킴, 사람그림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외에 부가적으로 성격구조에 대한 정보 얻을 수 있음. 특히 나무 그림은 무의식적인 수준의 성격 구조를 드러내주는 것으로 알려짐
- HTP에 대한 채점체계 개발, 사후질문과정(PDI) 포함
3) 색채화 검사 (Chromatic or Color Drawings test)
- HTP 개발자, 사용자들이 발전시킴. 연필로 HTP 수행한 다음 크레용으로 다시 그려보도록 함.
- Hammer : 유채색 그림이 무채색 그림보다 성격에 대해 훨씬 많은 것을 보여준다 함.
- 일반적으로 환경 적응을 잘 하는 아동일수록 다양한 색채 사용, 반대로 경직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할수록 제한된 색채만 사용하는 경향 나타남
- 색채가 지니는 의미는 성별, 연령,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과도하게 추론하는 것은 위험
4)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 (Draw a Person in the Rain test)
- 그 사람이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스의 양과 이를 방어기제의 와해나 퇴행 없이 얼마나 잘 다루고 있는가를 측정
- 비는 스트레스, 비의 질은 그 사람이 느끼는 스트레스의 양,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기제는 비에 대한 방어 즉, 우산이나 비옷, 나무로 상징되어 나타남
- 정신과 환자들에게 비교적 높은 타당도를 나타냄
5) 동물 그림검사 (Drawing of Animals test)
- 자기가 원하는 어떤 동물이든 마음대로 그려보게 하는 것
- 자기구조(self-structure)의 보다 원초적인 측면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됨
6) 자화상 검사 (Self-Portrait test)
- 자기개념과 신체상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 문제의 명료화, 치료 계획에 도움을 줌
7) 부가적인 인물 검사 (Additional Persons test)
- 사람 그림 혹은 자화상을 그려보도록 한 뒤 그 외의 다른 사람을 부가적으로 그려보도록 하는 검사
- 연구나 평가 목적에 따라 에스키모나 친구, 선생님 등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
- 인물 크기를 통해 중요한 타인의 존재나 자존감, 특정 인물에 대한 아동의 감정이나 생각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 있었으나 연구를 통한 타당도 검증은 아직 미비.
3. 투사검사 실시방법
- 동일한 재료 제공, 일정한 지시와 절차에 의해 진행, 사후질문에 특정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단, 검사자는 피검자가 자신이 그리고 싶은 대로 자유롭게 그리도록 하며, 그림의 모양이나 크기, 위치, 방법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또한 그림에 대해 여러 가지 질문을 하더라도 단정적인 답을 하지 말아야 한다. "네 마음대로 하면 된다"라고 말해주며 상황의 모호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함.
- 검사진행되는 동안 혼자 중얼거리는 것 같은 특정한 행동 관찰, 기록해야 함.
4. HTP 실시방법
1) 집 그림
- 종이는 가로 방향으로 제시, 피검자가 종이를 수직으로 돌려 그리는 경우 의미 있는 반응으로 생각할 수 있음
- 시간제한 없으며, 다 그리는 데 걸린 시간을 기록
- 사후질문하고 대답을 그대로 기록
- 사후 질문 내용 : 누구의 집인가?
누가 살고 있는가?
이 집의 분위기는 어떠한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나중에 집이 어떻게 될 것 같은가?
2) 나무 그림
- 종이는 세로 방향으로 제시
- 시간제한 없으며, 다 그리는데 걸린 시간 기록
- 사후 질문 내용 : 이 나무는 어떤 종류의 나무인가?
나무의 나이는 몇 살인가?
나무가 죽었는가 살았는가?
나무의 건강은 어떠한가?
나무 주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나무의 소원은 무엇인가?
나중에 이 나무는 어떻게 될 것인가?
나무를 그리면서 생각나는 사람이 누구인가?
3) 사람 그림
- 종이는 세로로 제시, 책사에 다른 물건 없이 깨끗한 것이 좋음
- 막대기 사람은 다시 그리도록 지시해야 함. " 어떤 종류의 사람을 그려도 좋지만, 막대기처럼 그리거나 만화 주인공을 그려서는 안 된다"라고 덧붙이는 것이 좋음.
- 다 그리면 반대 성의 사람을 그리도록 다시 지시함. 성별 확인 필요
- 시간 제한 없으며, 다 그리는 데 걸린 시간 기록
- 사후 질문 내용 : 이 사람은 누구인가?
이 사람은 몇 살인가?
이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 사람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
이 사람의 기분은 어떠한가?
이 사람의 소원이 있다면 무엇일까?
나중에 이 사람은 어떻게 될 것인가?
5. 집-나무-사람(HTP) 그림검사의 이용과 임상적 가치를 제한하는 세 가지 측면
1) HTP 그림검사는 "비정상적 환자들"에 의해 정신의학적인 배경에서 개발되고 표준화되었다. 다수의 HTP 그림검사 관련 문헌들은 "기질성 질환, 정신분열 등등"과 같은 정신병리학적 병명을 나타내는 진단적인 용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2) HTP 그림검사에서의 검사지시는 집, 나무, 사람을 각각의 용지에 그리도록 하여, 각각 그려진 형태로서는 어떤 행위나 상호 반응이 불가능하다.
3) 본질적으로 프로이트적인 이론적 맥락 안에서 해석되는 HTP 그림검사는 모든 자료와 상징들을 이 맥락의 범주 안으로 축소시킨다.
정의
- HTP는 그림을 매개로 하여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성격의 단면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
- 피험자의 연령과 그림을 고찰하여 지적인 면, 정서, 사회적인 성숙도 밝히는 일이 가능
6. KFD 실시방법
- 자신을 포함하여 가족들 모두가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
- 종이는 가로로 제시되어야 함
- 만화 그림이나 가만히 있는 사람 그림을 그리지 않도록 덧붙이는 것이 좋음
- 질문에는 "네 마음대로 그리면 된다"라고 답변
- 시간 제한 없고, 걸린 시간 측정하여 상단에 기록
- 자발적 설명할 경우 이를 기록.
- 다 그리면 가족성원이 그려진 순서와 가족 중 빠진 사람 여부, 가족 이외에 그려진 사람 있는지 확인하고 여백에 기록
- 각 인물에 대해 피검자와의 관계, 이름, 나이, 해석에 필요한 질문
- 사후 질문 : 각 인물에 대한 질문-이 사람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 사람의 좋은 점은? 이 사람의 나쁜 점은?
이 그림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했는가?
이 그림을 보면 무슨 생각이 드는가?
여기 가족화에 그린 상황 바로 전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 것 같은가?
앞으로 이 가족은 어떻게 될 것 같은가?
만일 이 그림에서 무언가를 바꿀 수 있다면 무엇을 바꾸고 싶은가?
<참고문헌>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HTP와 KFD를 중심으로-, 신민섭 외, 학지사, 2011
-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K-H-T-P 그림검사의 해석 지침서, 로버트 번스(시애틀 인간개발연구소), 김상식 역, 하나의학사, 2001
'상담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그림의 해석 : 기본 지침, 해석방법(1) (0) | 2024.08.13 |
---|---|
아동 그림의 발달적 측면(정상 아동 그림의 특성) (0) | 2024.08.11 |
발달심리학의 학문적 특성 (0) | 2024.08.10 |